COFFEE TV
닫기

ARTICLE #in

제목 작성일자

게이샤 커피, 어떻게 탄생했을까?

이제 곧 꽃이 만개하는 봄이 다가옵니다.  커피에서 '꽃 향기'라는 단어를 들으면 '게이샤 커피'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오늘은 게이샤 커피의 탄생에 대해 'fivesenses'에서 소개된 이야기를 간단하게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지난기사: 게이샤 커피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 생산자가 바라본 게이샤커피 열풍) 게이샤는 원래 서부 에티오피아의 농촌지역 이름인 게샤(Gesha)에서 유래됐습니다. 전달하는 과정에서 이름이 잘못 표기돼 지금의 ‘게이샤’라고 불리게 됩니다.지금은 WBC 결승전에서 많은 선수들이 게이샤 품종을 사용할 정도로 유명해졌지만, 처음 발견됐을 1996년 당시에는 ‘외관이 이상하고 가늘고 긴 야생 커피나무’에 불과했습니다. 커피농부였던 프라이스(Price), 다니엘 페티슨(Daniel Peterson)은 외관이 이상한 새로운 커피 품종인 게이샤를 재배하기로 결정합니다. 그 당시엔 큰 모험이었죠. 그리고 게이샤 나무에서 수확하고 가공한 첫 커피는 2004년도에 성공적으로 정식 판매됩니다. 그 당시 게이샤 품종은 96점을 기록하며 전례 없이 높은 가격에 판매됩니다. 그 당시 커피 플레이버가 주변농장들의 커피와 비교했을 때 무척 뛰어나, 마치 ‘한 잔의 과일차’를 마시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때부터 세계 커피 업계는 폭발적인 꽃향기와 클린하고 짙은 농도감에 반해 게이샤 커피에 빠져들게 됩니다. 2004년 이후 다른 농장들도 게이샤 품종을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게이샤 커피라는 이름은 커피 애호가라면 한 번 정도씩은 들어봤을 정도로 많은 이들에게 알려졌습니다. 왜 게이샤 커피의 값이 비쌀까요? 첫째, 생육조건을 갖추기가 까다롭다. 파나마게이샤만의 독특한 베리류의 달콤함, 오렌지와 같은 상큼한 산미 등의 복합적인 맛을 이끌어내려면 게이샤가 자라는 농장의 지리적 / 기후적요소가 매우 중요합니다. 미세한 기후차이가 게이샤커피의 복합적인 향미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데요. 게이샤 커피나무는 일반 커피나무보다 뿌리가 짧고 고도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그래서 해발고도 1,600m 이하에서 재배한다면 잎마름병(dieback: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잎이 떨어지는 것)과 곰팡이균(fungus:검게 착색이 되는 현상)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높은 고도(해발고도 2,100m)에서 재배한다면 잎과 열매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쉽게 말라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게이샤 커피의 최적 생육조건은 해발고도 1,650m-1,800m 정도지만, 이런 생육조건을 갖춘 농장이 많지 않아 생산량이 적은 편입니다. 둘째, 시간이 오래 걸린다.  게이샤 커피나무는 일반 커피나무보다 열매를 맺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일반 커피나무가 4-5년이 걸린다면 게이샤 커피나무는 8년이 필요합니다. 게이샤 커피를 수확하기위해 필요한 시간이 길어서 충분한 자본이 없는 커피 농부들은 다른 종류의 커피나무를 재배해 수익을 내는 것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기사, 이미지 출처: Geisha: Coffee Royalty     Geisha: Coffee Royalty

17.03.10

‘커피향미공동기획’ 8차 원두 공개

SCENTONE과 COFFEE TV가 공동기획으로 진행하는 글로벌커피향미분석!! 바로 어제 7차 커피향미분석에 대한 결과를 전해드렸는데요. ([공동기획] ‘커피 향미, 공감을 표현하다'(7) 빈브라더스 外 ) 온라인평가등록체계를 확실히 자리매김 시키며 점점 더 체계적이고 전문성을 높여가고 있는 커피향미분석의 8번째 시행일자가 다가왔습니다. 2월 17일(금) 국제호텔직업전문학교에서 진행될 예정인 8차 커피향미분석의 특징은 기존과는 다르게 에스프레소를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한다는 것인데요. 이번 평가는 정통이탈리안식 로스팅과 블렌딩을 홍보하고, 전문적인 이탈리아 커피로스터를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영리 협회 ICAK (Italia Coffee Association Korea)와 함께 합니다. ICAK에서는 이탈리아 국립 에스프레소 협회(INEI) 공인 커피교육 프로그램을 국내에 도입하여 전문바리스타를 양성함은 물론 이탈리아커피로스터과정(ICRC)을 통해 뛰어난 미각과 세심함 그리고 오랜 경험으로 원재료를 선별하고 가공하는 능력을 지닌 이탈리아 로스팅기술의 노하우를 기술적, 관능적 측면에서 국내에 전수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커피 로스팅 과정은 정통이탈리아 에스프레소의 블렌딩에서 사용되는 생두를 특징별로 크게 5가지 타입으로 분류하고, 타입별 최적의 로스팅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좋은 밸런스와 복합적인 향미를 이끌어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ICAK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지역별로 커피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윗쪽으로 올라갈 수록 산미가 느껴지고 신한 과일향과 코코아, 향신료 맛이 느껴지는 반면 아랫쪽으로 내려갈 수록 쓴맛이 강해지고 후추, 감초와 같은 맛이 느껴진다고 합니다. 8차 평가는 ICAK에서 제공한 '싱글원두 5가지'와 이를 이용하여 '블렌딩한 원두' 그리고 2016년 에스프레소 이탈리아노 챔피언십 공식 원두 'Jolly Caffe'까지 총 7가지의 에스프레소를 평가할 예정이며, 사용되는 생두 5가지 타입은 자연 건조된 아라비카(하드빈), 습식 건조된 아라비카 (하드빈), 습식 건조된 로부스타, 자연 건조된 아라비카 (소프트빈), 습식 건조된 아라비카 (소프트빈) 입니다. 에스프레소로 진행될 8차 향미평가가 궁굼하신 분들은 17일(금) 오후 3시에 커피TV페이스북을 통해 라이브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17.02.15

생분해성 원두봉투, 어디까지 왔나?

일반 소비자가 카페에서 커피를 담아가는 일회용 종이컵은 수십년간 자란 나무로 만들어, 사용 후 분리수거/재활용되지 않을 때는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커피의 소비가 늘면서 일회용 종이컵으로 인한 환경오염 증가 문제를 여러차례 소개한 바 있다. (지난기사 보기 : 일회용컵 사용, 다시한번 생각을!   일회용 컵, 사용은 늘고 회수율은 줄고 ) 한편 로스터리 샵이나 마트 등에서 원두를 구매한 소비자가 원두를 담아오는 대부분의 봉투는 종이(크래프트),합성수지(PET),알미늄포일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쉽게 분해되지 않아 비닐류로 분리수거해야하는 합성수지 재질 뿐만 아니라, 종이 봉투도 가스 밸브(플라스틱)와 내부 코팅성분(비닐/알미늄포일)로 코팅하는 경우가 많아 재활용/분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 커피 전문매거진인 스프러지에서는 이에 대한 기사(The Truth About Compostable Coffee Bags)를 통해, 포장재의 생분해성(biodegradable,박테리아,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에 관한 기사를 다룬 바 있다. 기사는 미국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환경파괴없이 현재의 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와 로스터리들이 늘면서, 테크팍솔루션이나 퍼시픽 백 등 원두봉투 제조사들이 생분해율이 높고 빠른 시간에 분해될 수 있는 포장재를 개발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내용을 다뤘다. 생분해성 제품관련 인증으로는 미국의 ASTM D6400과 D6868인증이 있으며, 국제 기준으로는 ISO 14855(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의 측정)와 ISO472등이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한 국내 인증으로는 EL727(환경부 인증), KBMP-0107(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인증), KSM3100(환경기술진흥원 인증, 2014년 ISO 14855-1로 통합/폐지) 등의 인증이 있으며,  이중 KBMP는 제품 폐기 36개월 후 생분해율이 60% 이상일 때 ‘KBMP-OBP-001', 60% 이하면 'KBMP-ODP-001'인증을 받는다. 다만 이러한 기준에 맞춘생분해성 원두포장재의 국내 생산/판매와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다. 국내 검색포털에서 ‘원두봉투’로 검색되는 제품 대부분이 ‘가격’과 ‘보관성’에 중심을 둔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제품을 판매중인 기업에게 생분해성 제품 생산/개발 계획에 대해 문의했을 때도 “현재로서는 예정이 없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몇몇 바리스타들에게  "카페에서 사용 중인 봉투가 생분해성 제품인지, 그리고 주변에서 생분해성 봉투를 사용하는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응답이 많았다. 이와 관련해 한 커피 관계자는 “아직 국내에서는 커피와 탄소발자국,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며, "예상되는 시장규모가 작고 일반 봉투에 비해 단가가 크게 높아지기 때문에, 최근 저가커피의 공세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중소규모 카페들은 친환경 봉투를 사용할 여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생분해성 원두봉투를 개발했던 소프트팩의 유하경 대표는 “과거 국내에서도 시험적으로 생산/판매했으나, 일반 원두 봉투보다 2.5~3배에 달하는 가격 차이로 국내 생산/판매는 중단한 상태”라며, “다만 호주,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생분해성 포장재에 대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SCAA 등 해외 전시회 참가시 해외 바이어들의 문의가 많았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장기적으로는 국내에서도 생분해성 포장재에 대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해, 폐기 후 1개월 이내에 100% 분해되는 합리적인 가격대의 포장재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올해 9월 경에는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해, 국내에서도 환경친화적 커피봉투 이용이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사 작성 : 박태진 (tj@coffeetv.org)   Copyright @ 2015-2017 'COFFEE TV', all rights are reserve. 게시물 본문에 '출처 :  COFFEE TV, coffeetv.co.kr/?p=24208'를 포함하면, 타 사이트에서도 자유롭게 이용가능합니다.

17.02.06

재미로 보는 7가지 커피 이야기

1. 커피의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됐을까? 'qahhwat al-bun'(아랍어, wine of the bean) -> ‘qahwa’로 짧게 불리다가 'kahve'(터키)->‘koffie’(네델란드)->'coffee'(영어)로 바뀌었다. 2. 커피가 없으면 이혼을? 술 대신 커피를 즐겨마시던 아랍 문화권에서는 부인에게 충분한 커피를 제공하지 않으면 남편과 이혼할 수 있었다. 3. 커피는 불법이었다? 유럽에 커피문화를 전파한 건 적국이던 오스만투르크. 공개된 장소에서 마시기 곤란했는데, 17세기 교황 클레멘트 7세가 커피를 축성하면서, 본격적으로 유럽인들이 커피를 즐기기 시작했다. 4. 그럼에도 커피는 불법이었다? 1511년 아랍 : 자유로운 사고와 사람들이 어울리는 것을 막기위해 금지 1674년 영국 : 60세 이하 영국인에게 커피를 금지하자는 청원 발의 1677년 독일 : 커피수입으로 인한 무역적자 예방 5. 미국인들이 커피를 즐겨마시게 된 계기는? 1773년 영국 식민지 문화에 저항하는 의미로 보스턴 항구에서 영국산 차(茶)를 바다에 던졌다. 이후 가까운 중남미에서 손쉽게 수입할 수 있는 커피가 미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6. 커피를 사랑한 유명인 발자크(소설가) : 영감을 얻기위해 매일 50잔의 커피를 마셨다. 베토벤(작곡가) : 커피를 내릴 때 컵당 60알의 원두를 추출했다. 테어도어 루즈벨트(美 대통령) : 매일 1갤런의 커피를 마셨다. 7. 전쟁도 못 막은 커피 사랑 아메리카노 : 미국 병사들은 이탈리아 에스프레소를 연하게 마시기위해 물을 타서 마셨다. 커피 폭탄 : 외국에서 수입해야하는 커피를 마실 수 없던 독일인들이 나치정권에 저항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연합국에서는 독일인들에게 ‘커피 폭탄’을 투하했다.

17.01.31

특별한핸드메이드 커피선물 13선

추운 겨울엔 손수 볶은 커피를 그라인더로 갈아 핸드드립으로 내려먹을때가 가장 행복합니다.   선물도 마찬가지로 대량생산된 기성품보단, 정성이 가득 담긴 핸드메이드 제품이 따뜻한 느낌을 전해줍니다. 기념일 혹은 특별한 날마다 무엇을 사줄지 늘 고민된다면 이번 기사를 참고해보시는게 어떨까요? ➀Cactus Coffee Mug (선인장커피머그잔) 이 컵을 보면 꼭 마치 사막에 온 듯한 기분이 든다.  카우보이 캐릭터를 좋아하는 아이들에게도 제격이다. 선인장 모양의 손잡이가 인상적이다. ➁Cinnamon Coffee Bar Soap (시나몬커피바비누) 멕시코 커피에 영감을 받은 이 비누는 코코아버터, 공정무역커피와 계피가루로 만들어졌다. 이 커피비누는 각질제거에도 탁월하다. ➂Coffee Cup Journal (커피컵저널) Porridge Papers에서 들꽃 씨앗으로 만들어진 76페이지 분량의 종이다.  여기엔 커피에 관련된 아이디어를 적으면 좋다. ➃Coffee & Cacao Bitters(커피&카카오 비터스) 바텐더에게 알맞은 선물을 찾는 당신에게 추천한다. 로스팅된 커피, 카카오닙스(카카오 씨의 떡잎), 시나몬, 오렌지껍질로 만든 이 칵테일을 추천한다. 어떤 칵테일과도 잘 어울린다. ➄Coffee Beard Oil(커피 베어드 오일) '향은 깊고 냄새는 마치 코코아를 섞은 홈브루잉 커피와 같다'. 따라서 아침에 커피를 마시기 전, 머리나 수염에 오일을 바른다면, 꼭 풀바디감의 커피를 맛보는듯한  굉장히 독특한 향이 날 것이다. ➅Coffee Printed T-Shirt(커피 프린트 티셔츠) 이 티셔츠는 Domestic Stencilworks의 Coffee Printed 라인의 디자인 중 하나다. 핸드스크린 프린트 티셔츠가 더욱 독특해 보이는건, 현지 카페에서 직접 사용된 커피가루로 만든 염색약으로 프린팅 되기 때문이다. ➆Coffee Tea Towels(커피 티 타월) Sara Selepouchin의 일러스트가 그린 이 핸드프린팅 된 타월은 당신의 주방에 많은 커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천연 100% 코튼소재로 무표백, 무자극 소재이다.커피를 사랑하는 어떤 요리사에게도 어울린다. ➇Coffee Zine (커피 자인) 스마트폰이 지배하고 있는 세상에서 아직도 잡지를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이 좋지 않은가? 이 아름다운 일러스트는 아담한 사이즈로 만들었기 때문에 책과 커피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➈Creation of Adam Print (아담의 창조 그림) Karen Eland는 커피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가다. 그녀의 작품의 근원은 커피를 이용해 클래식한 작품들을 재해석한다는데 있다. 성당에서 볼법한 미칼렌젤로의 유명한 ‘아담의창조(Creation of Adam)’ 로부터 영감을 받은 것이다. 신은 커피를 만들었고, 인류에게 창의성을 부여했고, 인류는 커피를 만들어 다시 신에 바쳤다. 커피로 그려져 인상깊다. ➉Damn Fine Cup of Coffee Sign (커피사인의댐파인컵) 에이전트 쿠퍼에 의해 인증받았고, 트윈픽스가 돌아오기를 손꼽아 기다리는 이들에게 이상적인 선물이 될 것이다. ⑪Seattle Coffee House Candle(시애틀 커피 하우스 양초) 드립 커피 한 잔을 큰 머그잔에 따르고, 시애틀 커피 하우스 양초에 불을 붙이면 마치 90년대로 돌아간 느낌이다. 이 핸드메이드 양초는 신선하게 로스팅 된 커피와 헤이즐넛 향이 진하게 난다. ⑫Skateboard Tamper(스케이트보드 탬퍼) 뮌헨에 위치한 젠스루터(Jens Reuter)는 커피와 스케이트보드를 사랑한다. 그는 유럽 곳곳의 공원을 다니며 오래된 스케이트보드를 찾아 특이한 에스프레소 탬퍼로 바꾸는 방식으로 연결시켰다. 탬퍼스는 다양한 색과 사이즈로 나온다. (49mm, 51mm, 52mm ,58mm) ⑬The Curator Pour Over Stand(크레이티 푸어 오버 스탠드) 푸어오버 제품들이 이제는 지겹다고? 그러면 당신이 필요로 한 것은 큐레이터다. 이것은 수공예로 만든 푸어오버 시스템으로, 당신의 머그잔이나 디캔터에 알맞은 사이즈로 나온다. 바닥베이스는 미국산 호두로 만들어져 있고, 놋쇠로 된 고정물은 스팀펑크스타일의 느낌을 준다. 출처 : http://sprudge.com/15-handmade-coffee-gifts-for-the-holidays-112935.html  

17.01.25

커피 플레이버 휠의 역사,새로운 시도

커피 플레이버 휠(Coffee Flavor Wheel)은 커피가 가진 다양한 향미를 잘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도구죠. 작년 초 20년만에 새로 개정된 플레이버 휠이 발표돼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요. (지난기사 보기 : SCAA 이사,피터 줄리아노에게 듣는 NEW 플레이버 휠 , 2016 월드커피리더스포럼 ‘커피과학과 커뮤니케이션’ 3人 인터뷰 ) 플레이버 휠은 처음 어떻게 시작됐고, 커피 플레이버 휠이 만들어진 것은 언제일까요? 플레이버 휠(wheel)을 넘어 플레이버 트리(tree) 등 다양한 도전이 이뤄지고 있는 커피 플레이버 휠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날 제품을 설명하는 다양한 표현방법이 있지만, 그중 와인,향신료,커피 등 향미를 가지고 있는 제품을 설명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플레이버 휠(Flavor Wheel)이다. 플레이버휠은 식품,와인 등의 상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를 명확히 하는데서 출발했다. 업계 종사자들이 어떤 상품을 정확하게 논의하기위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동 용어들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애견사료에서 ‘냄새나는(merely smelly)’ 식품이 아니라, 판지,곡물,농장 등의 단어로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제품 특징을 예쁘고 즉각적으로 전달하기위해 처음 고안된 방법은 무지개형 기법이다. 1950년대 아더 D.리틀(Arthur D. Little) 社에서 개발된 플레이버 프로필(Flavor Profile)은 ‘fruity’, ‘spicy’ ‘sweet’ 등의 단어를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해 무지개의 주요 색(빨강,파랑,노랑)에 배정하고, 살구(apricot)나 감초(licorice)등의 부차적인 맛은 주요색의 하위 색상(청록,연보라)으로 표현했다. 커피 플레이버 휠은 다른 유형의 휠과 마찬가지로, 주요 향미는 안쪽에, 부가적인 향미는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과일향’,‘신맛’,‘발효됨’ 등은 휠에서 동일한 선상에 놓여져있다. 또한 단어의 느낌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색으로 코드를 나누고 있다. 예를 들어 식물과 관련된 용어들은 초록색으로, 꽃을 표현하는 단어는 핑크색으로, 향신료는 빨간색으로 되어있다.     1970년대 후반 등장한 맥주 플레이버 휠은 1980년대 중반 와인 아로마 휠(Wine Aroma Wheel)의 개발로 이어졌다. 와인 아로마 휠을 개발한 캘리포니아大 앤 노블 교수는 와인의 특징을 좀더 섬세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 나파벨리나 프랑스 보르도 등 와인 명산지에서 테이스팅 시연회를 할 때, 와인의 맛을 보다 풍부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자극을 받아 커피 아로마 휠은 1995년 개발됐다.   사람들이 커피를 맛보고 떠오르는 느낌을 적으면, SCAA와 캘리포니아大 연구원들이 단어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해 정리하는 방식으로 3년에 걸쳐 만들어냈다. SCAA 커피과학분야 담당자인 엠마 세이지(Emma Sage)는 “업계를 위해 보다 실용적인 도구가 필요하다”며, “커피를 맛볼 때 벽에 걸려있는 플레이버 휠 포스터를 보고 재빨리 맛을 골라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캔자스大 감각/소비자행동연구 과학자인 에드가 챔버(Edgar Chambers)는 “플레이버(맛)은 다차원적인 것”이라며, 플레이버 휠을 넘어 ‘플레이버 트리’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챔버스와 캔자스大 팀원들은 13개국에서 105개의 커피를 맛 봤으며, 트리에 사용될 수 있는 단어들을 도출/분석해 재정리했다. 이렇게 만들어지고 있는 플레이버 트리는 110개 단어로 향미를 표현할 수 있는데, 기존의 다른 플레이버 휠이 60개만 가능한 것에 비하면 크게 발전된 수치이다. 챔버는 플레이버의 미래가 다차원적이고 가상적이라고 믿고 있다. 플레이버 트리를 이용하는 유저들은 한 단어를 클릭했을 때, 이와 연관된 단어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편리하다고 말한다. *출처 : One Man's Quest To Reinvent The Wheel — The Flavor Wheel, That Is

17.01.18

다이얼링 인(dialing in)에 도전하다

바리스타들이 매장에 출근하여 처음 하는 일은 에스프레소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죠. 기기세팅을 하고, 첫 샷을 뽑고, 그라인더의 분쇄도를 조절하는데요. 이것을 ‘다이얼링 인’이라 표현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이얼링 인(dialing in)’은다양한 의미를 지니겠지만, 바리스타들에게는  맛있고 일정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최적의 추출변수를 정하고 추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이얼링을 하기 위한 방법과 팁을 배워보겠습니다.   1. 그라인더 잔량을 잊지마라 모든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들은 약간의 분쇄 커피가 내부에 남아있기 때문에 분쇄도를 조절할 때마다 항상 깨끗이 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말자. 2.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라 분쇄도를 조절하기 전에 그라인더를 어느 정도 움직여야 하는지 정확히 알아봐야 한다. 이렇게 하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조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 너무 과잉 조절하지 마라. 조절을 할 때에는 한번에 너무 많이 움직이지 말고, 만약 조절 후 처음 추출했을 때 원하는 샷이 나오지 않았다면 조금 뒤 다시 추출을 해보아라.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샷을 얻기 위해 많은 커피와 시간을 소비할 수 있다. 레시피 설정이 완료됐다면, 직접 맛을 보고 과다추출 되었는지, 과소추출되었는지, 혹은 완벽하게 추출되었는지 확인하라. 만약 당신의 커피에서 신맛이 난다면 분쇄도를 곱게 만들고, 맛이 쓰다면 분쇄도를 더 거칠게 만들어라.   1. 느리고 꾸준하게 하라 그라인더는 조금씩 조절하라. 크게 조절하며 실수 하는 것 보다 작게 조절하며 맞춰가는 것이 더 낫다. 2. 맛은 복잡하다. 안타깝게도 다이얼링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과소추출에서도 쓴맛이 나기도 하고, 또는 아무 맛도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지속적으로 맛을 보고 실험하며 경험을 늘리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 물론 다이얼링을 할 때 커피나 추출장비 외에도 다른 변수들이 있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더 나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선 필요한 몇 가지이다.   1. 일지를 작성하라 당신의 레시피를 샷 횟수와 플레이버 노트를 매일 기록해 두면 많은 지식을 구축할 수 있고 트레이닝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2. 일부러 반대 입장을 취하라 어느 순간 현실에 안주하고 자만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지마라! 일주일에 1번씩은 전혀 안 될만한 추출변수로 시도하고 맛을 봐라. 3. 언제 멈출지를 알라 어느 정도의 커피를 섭취하면 나쁜 맛이 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별 다른 방법이 없다. 에스프레소는 아주 강한 쓴 맛을 가지고 있어 입을 쉽게 지치게 하기 때문이다. 4. 당신이 누구를 위해 커피를 만드는지 생각하라. 아무리 맛있는 커피라도 누가 마실지 모른다면 무슨 의미가 있는가? 당신의 고객들에게 맛을 봐달라고 요청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라.   출처 : The Art of the Dial  

16.12.21

[궁굼하면 찾아보는 커피백과사전] 용어편(6) 아그트론(Agtron)

커피 로스팅을 구분하는 단계는 어떻게 될까? 로스팅이 진행될수록 푸른색을 띄던 생두가 연두색, 노란색, 갈색으로 서서히 변화한다. 로스팅 단계 구분법으로는 일본의 8단계 분류법과 미국의 SCAA 분류법이 보편적이다. 8단계 분류법의 명칭은 나라마다 선호하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나라나 도시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가장 낮은 로스팅 포인트부터 라이트, 시나몬, 미디움, 하이, 시티, 풀시티, 프렌치, 이탈리안이라고 부른다. 라이트는 가장 밝고 연한 색을 가지고 있고 이탈리안은 가장 어두운 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분류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하게 8단계로 구분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정확하게 구분할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이 바로 아그트론(Agrton)이다. 아그트론(Agrton)은 미국 스페셜티 커피 협회(SCAA)가 아그트론사의 M-basic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원두의 색상에 따라 8가지로 분류한 방법으로 SCAA분류법이라고도 불린다. SCAA분류법은 아그트론 커피 색도계를 기준으로 #95~#25까지 8가지로 분류한다. 색상이 밝으면 더 높은 숫자로 표기된다. 가장 밝은 색상부터 #95(Very Light), #85(Light), #75(Moderately Light), #65(Light Medium), #55(Medium), #45(Moderately Dark), #35(Dark), #25(Very Dark)순이다. 8가지로 분류한다는 점에서 8단계분류법과 SCAA분류법이 비슷해 보이지만 두 가지는 전혀 다른 방법이다. 예를 들어 SCAA분류법의 미디움은 아그트론 넘버 #55이지만 8단계분류법의 미디움을 아그트론 색도계로 측정하면 약 #65~#75정도로 보다 밝은 것을 알 수 있다. 아그트론 넘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커피 색도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커피 색도계는 LED에서 발생한 적외선이 대상에 반사된 후 돌아오는 값을 계산해주는 기계이다. 일반 색도계와는 차이가 있는데 일반 색도계는 대상의 적색, 녹색, 청색을 모두 측정하지만 커피 색도계는 적외선영역의 색상만을 측정한다. 검은색 바탕의 플라스크에 커피를 담고 스위치를 켜서 측정하는 방식으로 분쇄하지 않은 원두와 분쇄한 원두로 두 번 측정한다. 이유는 겉과 속의 색상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커피 색도계를 이용하면 아그트론 넘버를 거의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있지만 금액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구매하기 쉽지 않다. 최근 조금 저렴한 가격의 색도계들이 출시되고는 있지만 그 정확성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색도계가 없는 경우 아그트론 컬러타일을 이용하여 원두에 직접 대보며 아그트론 넘버를 확인하고 있다. 로스팅을 한다면 아그트론을 측정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아그트론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이 로스팅의 균일성, 전문성, 스킬에 영향을 주지는 아니기에 너무 근심하지 않길 바란다.

16.12.09

[궁굼하면 찾아보는 커피백과사전] 용어편(6) 아그트론(Agtron)

커피 로스팅을 구분하는 단계는 어떻게 될까? 로스팅이 진행될수록 푸른색을 띄던 생두가 연두색, 노란색, 갈색으로 서서히 변화한다. 로스팅 단계 구분법으로는 일본의 8단계 분류법과 미국의 SCAA 분류법이 보편적이다. 8단계 분류법의 명칭은 나라마다 선호하는 로스팅 정도에 따라 나라나 도시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가장 낮은 로스팅 포인트부터 라이트, 시나몬, 미디움, 하이, 시티, 풀시티, 프렌치, 이탈리안이라고 부른다. 라이트는 가장 밝고 연한 색을 가지고 있고 이탈리안은 가장 어두운 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분류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하게 8단계로 구분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정확하게 구분할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이 바로 아그트론(Agrton)이다. 아그트론(Agrton)은 미국 스페셜티 커피 협회(SCAA)가 아그트론사의 M-basic라는 기계를 사용하여 원두의 색상에 따라 8가지로 분류한 방법으로 SCAA분류법이라고도 불린다. SCAA분류법은 아그트론 커피 색도계를 기준으로 #95~#25까지 8가지로 분류한다. 색상이 밝으면 더 높은 숫자로 표기된다. 가장 밝은 색상부터 #95(Very Light), #85(Light), #75(Moderately Light), #65(Light Medium), #55(Medium), #45(Moderately Dark), #35(Dark), #25(Very Dark)순이다. 8가지로 분류한다는 점에서 8단계분류법과 SCAA분류법이 비슷해 보이지만 두 가지는 전혀 다른 방법이다. 예를 들어 SCAA분류법의 미디움은 아그트론 넘버 #55이지만 8단계분류법의 미디움을 아그트론 색도계로 측정하면 약 #65~#75정도로 보다 밝은 것을 알 수 있다. 아그트론 넘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커피 색도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커피 색도계는 LED에서 발생한 적외선이 대상에 반사된 후 돌아오는 값을 계산해주는 기계이다. 일반 색도계와는 차이가 있는데 일반 색도계는 대상의 적색, 녹색, 청색을 모두 측정하지만 커피 색도계는 적외선영역의 색상만을 측정한다. 검은색 바탕의 플라스크에 커피를 담고 스위치를 켜서 측정하는 방식으로 분쇄하지 않은 원두와 분쇄한 원두로 두 번 측정한다. 이유는 겉과 속의 색상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커피 색도계를 이용하면 아그트론 넘버를 거의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있지만 금액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구매하기 쉽지 않다. 최근 조금 저렴한 가격의 색도계들이 출시되고는 있지만 그 정확성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색도계가 없는 경우 아그트론 컬러타일을 이용하여 원두에 직접 대보며 아그트론 넘버를 확인하고 있다. 로스팅을 한다면 아그트론을 측정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아그트론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이 로스팅의 균일성, 전문성, 스킬에 영향을 주지는 아니기에 너무 근심하지 않길 바란다.

16.12.09

커피를 사랑하는 여행자들을 위한 10가지 커피도구

환상적인 경치와 함께하는 커피 한 잔은 고단한 여행길의 피로를 녹여준다. 특히 당신이 커피를 사랑한다면, 어느 여행지에 가더라도 커피가 꼭 생각날 것이다. 하지만 낯선 여행지를 모험할 땐 어떻게 커피를 추출해야할지 엄두가 나지 않는 것도 사실. 이번 기사는 그런 당신을 위하여 준비했다.  '커피를 사랑하는 여행자들이 가지고 다니면 좋을 10가지 커피 도구'를 소개한다. 1.Hand-Powered Portable Espresso Maker (핸드-파워 휴대용 에스프레소 메이커) ‘Minipresso GR’은 작고 아주 가벼운 에스프레소 메이커다. 반자동의 피스톤이 달려있고, 8bar 압력으로 추출이 가능하고, 백팩에 쏙 들어갈 만큼 휴대하기 간편하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풍부하고 거품이 가득한 에스프레소 샷을 언제 어디서나 맛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 (goo.gl/AaQjI4) 2.Manual Coffee Grinder(매뉴얼 커피 그라인더) ‘Java Presse Coffee Company’에서 만든 제품으로 신선하게 분쇄된 원두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게 해주는 휴대 간편한 커피도구로 프렌치 프레스에도 적합하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이동하면서 18가지 분쇄도 방법을 자신의 입맛대로 설정해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 (goo.gl/vk5oX5) 3. Handpresso Pump Set(핸드프레소 펌프 세트) 개성넘치는 실용적인 디자인의 펌프세트. 세트 구성은 에스프레소 메이커, 4개의 컵, 물을 무려 3시간이나 뜨겁게 유지해주는 싱글보온병(절연처리)으로 구성됐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여행하면서도 스타일과 실용성을 둘 다 포기 할 수 없는 스타일리쉬한 커피인. 또 E.S.E포드와 당신이 선택하는 분쇄된 원두까지 시도가 가능하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다 잡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6PGRW3) 4. Temperature Adjustable Mug (온도 조절 가능한 머그잔) 샌프란시스코의 Ammunition에 의해 디자인된 머그잔이다.  커피를 2시간 동안 식히거나 따뜻하게 해줄 뿐 아니라, 앱으로 원격조절도 가능하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길거리를 여행할 때 따뜻한 머그잔을 손에 쥐고 여행하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dv0a15) 5. Coffee Joulies (커피줄리스) 뜨거운 커피 안에 넣었을 경우 캡슐이 열을 흡수해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만약 음료가 최상의 온도라면 그 상태를 지속시켜주기 위해 캡슐이 열을 방출한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부피가 작고 가벼운, 앙증맞은 스테인리스 스틸 원두로 간단하게 온도조절을 하고 싶은커피인들에게 추천!(여성들이 좋아할만한 아기자기한 휴대용 커피기구로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SMNfTE) 6. Nomad Espresso Machine (노마드 에스프레소 머신) UniTerra가 개발한 에스프레소 메이커.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캠핑, 피크닉, 등산 에도 부담 없이 가져갈만큼 작고 가볍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여행하면서 풍부한 크레마, 정통 이탈리아스러운 커피를 맛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QAcZ5S) 7.Portable Cold Brew Coffee Maker(휴대용 콜드브루 커피 메이커) 콜드브루는 올해 가장 유행했던 커피 트렌드 중 하나다. 이 커피메이커는 간단하고, 세련되고, 사용하기 쉬운 커피메이커다. 또 일본식, 네덜란드식 슬로우드립커피의 원칙들을 따랐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산미 없이, 적당히 쓴 맛과 더불어 부드럽고 맛이 풍부한 커피를 맛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vAB7t7) 8. Stylish Stainless Steel Thermos(스타일리시 스테인리스 스틸 보온병) 'UPSTYLE Couple' 보온병의 진공기술 및 이중벽으로 구성된 덕분에 커피를 무려 24시간동안이나 차갑거나 뜨겁게 유지시켜 준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언제 어디서나 따뜻한 커피를 맛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내용물이 흐르지  않고, 스타일리시 하고 크기도 작아 글램핑 여행, 아웃도어 음악 페스티벌이나 시티투어에도 부담없이 가지고 다닐 수 있다)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nkzUdC) [video width="1280" height="720" flv="/data/wp/2016/11/The-Coffeebrewer.flv"][/video] 9.Innovative Reusable Coffeebrewer(혁신적인 재사용 가능한 커피브루어) 프렌치프레스 브루의 품질로 인스턴트커피의 편리함을 연결시킨 그로워스 컵브루어는 가장 획기적인 제품이다. 8그램의 신선하게 간 싱글 에스테이트 스페셜티 커피로 자체 포장백으로 브루잉이 가능하다. 파우치 안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4-6분 기다리면 맛있는 그루메 커피를 마실 수 있다. (깨알팁:  '구르메 커피' (Gourment Coffee)의 구르메 프랑스어로 '미식가용' 이라는 뜻이다. 레귤러 커피보다 좋은 원재료를 사용하고,  100% 아라비카 종 커피로, 커피 알의 크기가 균일한 특징을 갖고 있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여행 중 구르메 커피를 간단하게 맛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bI4kRF)   10.Handmade Cold Brew Coffee Kit(핸드메이드 콜드브루 커피 키트) 6잔의 부드럽고 맛있는 콜드브루 커피를 6-20시간 안에 만들 수 있다. 유리 용기와 유기농 필터로 이루어진 친환경 도구로 사용방법이 간단하다. 거칠게 간 커피가루를 추가하고, 유리용기를 찬물로 채운 후 2시간, 혹은 하룻밤 동안 담궈두면 된다. (깨알 팁 : 커피기름을 필터로부터 제거하려면  4-6주마다 한번씩 신선한 물에 끓여주면 된다.) 여행 중 이런 커피를 맛보고 싶다면? 가족여행, 단체여행에서 나만의 콜드부르를 뽐내고 싶은 커피인들에게 추천! 가격이 궁금하다면?(https://goo.gl/mifE2M)   *Source: http://travelaway.me/best-coffee-gadgets-accessories-travelers/  

1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