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 TV
닫기

ARTICLE #P

제목 작성일자

천으로 만든 커피필터 종이/메탈과 비교한다면??

천으로 만든 커피 필터가 보급화 된다면 어떨까요? 그동안 종이필터나 영구적인 메타필터(금속망)가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새로운 천 재질의 필터에 대한 기사가 있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온라인 미디어인 'REMODELISTA'의 자넷 홀(Janet Hall)은 "산타크루즈의 'VERVE Coffee'에서 천으로 만든 필터를 사용하면서, 기존의 종이 필터와 메탈 필터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선택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천으로 만든 필터는 재사용도 가능하며 종이필터보다는 브루잉할 때, 더 풍부한 바디감을 느낄수 있고, 메탈소재보다는 침전물이 덜 생기며, 보관방법도 잘 씻어서 밀폐용기에 보관하면 됩니다. 회의적인 시각들도 있지만 커피전문가들의 실험에 의하면, 천 필터는 더 많은 oil을 컵으로 통과시켜서 필터가 없는 프렌치 프레스와 종이 필터로 브루잉한  것, 그 둘의 밸런스를 조화롭게 유지하며, 결론적으로 더 깨끗하고 풍부한 바디감을 느끼게 한다고 하네요.^^ 아래의 사진을 보면 시중에 유통중인 제품과 사이즈별 가격들이 첨부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www.remodelista.com/posts/accessories-cloth-coffee-filters

15.07.22

포모나 음료 만들고 포머니 현금 받기

카파아이엔티가 지난 해 9월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포머니(PoMoney)’ 서비스 이용자가 점점 늘고 있다고 합니다. 포머니 서비스는 포모나(Pomona) 제품 구입 시 일정액을 적립해주고, 그 적립금을 현금으로 되돌려주는 캐시백 서비스인데요. 현금 할인을 받는 것과 같은 큰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는 점 때문에 화제가 되었죠. 또 제품의 구입 방법, 구입 가격에 상관 없이 제품 권장소비자가의 2~4.5%를 적립해준다고 하니 더욱 좋은 서비스로 보이는데요. ‘카파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한 후 포모나 제품에 인쇄되어 있는 시리얼을 입력하면 포머니가 적립된다고 합니다. 일정 금액 이상 적립 후에는 앱을 통해 환급 신청을 할 수 있다고 하고요. 지난 7월 베이징에서 열린 카페쇼 차이나에서 만난 카파아이엔티 손삼호 대표는 “포머니 서비스가 점점 이슈가 되면서 더 많은 고객들이 더 큰 혜택을 누리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포머니를 통해 현금할인 또는 현금적립과 같은 유용한 기능을 누리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포머니는 기존의 포인트 적립 제도들과 달리 매장이나 홈페이지 방문 없이 스마트폰만으로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해요. 포모나 제품을 가지고 있는 분이라면 당장 스마트폰을 꺼내보시는 게 어떨까요?

15.07.21

카페 추천릴레이1 모던&안락 '테일러커피'

https://youtu.be/fciQaJ6RxSI 안녕하세요? 커피TV에서 시작하는 카페 추천 릴레이 프로젝트! 첫 번째는 홍대에 위치한 테일러커피입니다. 지난번 저희 커피TV에서 소개해드린 알레그리아 유기용 대표의 추천으로 테일러커피를 찾아가게 되었습니다. 테일러커피는 2009년 다이닝 포레스트로 시작했는데요. 2012년에 테일러커피로 리뉴얼하면서 모든 사람이 편안하게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카페로 자리잡았습니다. 지금은 2호점까지 운영하고 있는 중인데요. 지난해 10월 새롭게 문을 두 번째 테일러 매장, 커피TV와 함께 구경 가보아요.

15.07.18

인도네시아 스페셜티커피 옥션 11월에 열려!

인도네시아 스페셜티 커피 옥션이 올 11월 한국 서울카페쇼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한국에서 열릴 인도네시아 스페셜티 커피 옥션 오리엔테이션이 지난 7월 11일 토요일에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에서 주관하고 피티 보고 코라(PT. VOGO KORA)와 라벨 커피(LABEL COFFEE)가 서포트 했습니다. 이번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제14회 서울카페쇼에서 열릴 제1회 인도네시아 스페셜티 커피 옥션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진행되었고, 인도네시아 커피 및 생산지에 관한 세미나도 함께 열렸습니다. 또 31가지의 인도네시아 스페셜티 커피의 샘플을 직접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그중 8개 원두를 가지고 비즈니스 커핑을 진행하였는데요. Kamariang. South Sylawesi M natural Preanger. West Java Blue Batak. Sumatra Mandheling CBR Rais Toraja Gr-1 Kintamani. Bali Kopi Luwak. Lintong Mandheling. Lintong. Sumatra Pollung. Single Origin 약 60여 명의 커퍼가 참여한 이번 행사를 진행한 라벨커피 박태정 대표는 "오늘 행사는 10월에 있을 옥션 저지(Judge) 선발에 참여도를 높이고 진입 장벽을 낮추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번 11월에 진행되는 이벤트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옥션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하였습니다.

15.07.13

커피애호가를 위한 로스트 레이팅스

Q. 로스트 레이팅스의 성격을 간단히 표현하자면? ‘접근가능성’입니다. 로스트 레이팅스의 가장 큰 장점은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고, 쉽다는 것입니다. 저희는 사람들이 언제든지 저희 리뷰와 기사, 블로그를 읽고 이해하고, 즐기길 원합니다. Q. 로스트 레이팅스 누구에게 필요하고, 왜 필요한가요? 제가 로스트 레이팅스를 만든 이유는 누구나 사용 가능한 정확한 커피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입니다. 저희의 주요 타깃은 비(非)커피전문가들입니다. 단지 커피를 좋아하고 커피에 대해서 더 배우길 원하며 더 좋은 커피를 찾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죠. Q. 커피 평가는 누가? 당신과 홀리 둘이서? 지금은 저와 홀리 바스틴이 커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 저희 쪽에서 COE 심사위원 경력자인 브라이언 밀러(Brian Miller)가 커피 테이스터로 활동하고 있고요. 때때로 평가해야 하는 커피가 너무 많을 때 저희와 함께 커피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Q. 듀얼 레이팅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듀얼 레이팅 시스템(Dual Rating System), 즉 이중평가 시스템은 우리가 접하는 커피에 대한 리뷰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 시스템은 저희가 이용하는 두 가지 평가기준을 위한 점수시트(Scoring Sheet)가 반영됩니다. 첫 번째 평가기준은 블라인드 커핑입니다. 커핑의 방법은 좋은 커피를 찾아내는데 굉장히 중요한 핵심이라고 믿습니다. 커핑은 커피의 다재다능성을 나타냅니다. 만약 커핑을 통해 어떤 커피가 맛있는 것이라는 알게 되면, 추출에서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해 더 맛있게 혹은 다른 맛있는 맛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이 평가기준은 맛의 요소에 초점을 둡니다. 두 번째 평가기준은 필터 브루입니다. 미국 시장에서는 대부분의 커피가 자동 필터 브루어로 추출됩니다. (차후에는 에스프레소 평가기준도 시행할 예정입니다.) 평가기준은 커피가 어떤 맛을 내는지에 대한 정확한 견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저희의 일반 경험을 통해 세워졌습니다. 이 두 가지 평가기준들은 각각 50점의 배점을 갖습니다. 두 가지 점수가 합해지면 총 100점이 되지요. 우선 숫자로 점수를 매기고 그게 별점 평가가 됩니다. 예를 들면 74점을 받은 커피는 4스타 커피가 돼요. 4스타는 전반적으로 굉장히 좋은 커피로 평가된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SCAA처럼 100점 기준으로, 혹은 COE처럼 모든 것이 80점 만점으로 매겨지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Q. 스코어링 시트의 평가 요소와 점수 매기는 방법은? 우리의 평가 항목은 아로마(Aroma), 바디(Body), 애프터테이스트(Aftertaste), 액시디티(Acidity), 스위트니스(Sweetness)입니다. 그리고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도 있습니다. 쓴맛(Bitterness)입니다. 적은 쓴맛, 복합적인 요소, 탄닌 및 향신료와 같은 기분 좋은 쓴맛 등은 높은 점수를 갖게 되고요. 낮은 로스트 퀄리티, 카본, 디펙트에서 드러나는 쓴맛은 낮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로스트 레이팅스는 로스팅 된 완제품에 편견이 없습니다. 고품질 그린빈 자체도 높은 점수를 받는데 큰 도움이 되지만 궁극적으로 로스팅 테크닉이 저희의 평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Q. 로스트 레이팅의 운영전략은 무엇인가? 저희 평가의 정확성과 고객들이 좋아하는 커피를 찾는 능력, 저희의 즐거움과 재미있는 블로그를 통해 로스트 레이팅스가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저희의 전략은 간단합니다. 커피를 마시는 세계인들이 믿을 수 있는 자원이 되고, 사람들이 흥미롭게 볼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15.07.09

라떼아트 컴피티션 왜 중요한가?

최근 국내외로, 특히 한국과 중국 바리스타들의 라떼아트와 라떼아트 경연대회 등에 대한 관심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이번 월드라떼아트챔피언십에서도 드러났듯 특히 아시아인의 라떼아트 테크닉과 수준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기도 합니다. 마침 얼마 전에 라떼아트 경연대회를 소재로 한 글을 발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커피, 티 등을 공급하는 S&D Coffee&Tea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티븐 림(Steven Lim)의 글로, 커피TV에게 라떼아트와 라떼아트 경연대회가 왜 중요한 것인지 알리고 싶었다며, 한국 독자들과 공유해주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아래는 스티븐 림의 글 전문입니다. 라떼아트 경연대회는 왜 중요할까? 바리스타의 프리 폼(free form) 라떼아트는 고객에게 음료를 제공할 때 자기 서명을 대신하는 것입니다. 프리 폼 라떼아트란 에스프레소에 결합되는 스팀 우유의 흐름과 속도만으로 만들어낸 패턴을 말합니다. 우유가 기본이 되는 음료(마키아토, 코를 타도, 카푸치노) 위에 성공적으로 올라간 패턴은 바리스타가 제대로 된 에스프레소와 함께 신선한 질감의 우유를 올바르게 사용해 음료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라떼아트는 에스프레소와 우유가 맛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서 섬세하고 균형 잡힌 식감을 줘 고객들이 더 좋은 경험을 하게 합니다. 바리스타와 고객들에게 라떼아트는 색다른 경험을 하게 합니다. 폭발적인 고객들의 주문에 자유롭고 창조적인 패턴을 섬세하게 올리기는 어렵습니다. 우유 베이스의 음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속도와 정확성을 함께 갖추기는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에스프레소가 빠르게 혹은 느리게 추출된다거나, 크레마가 너무 많거나, 또한 우유 거품 양의 차이, 에스프레소 머신의 특성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이 있습니다. 세계 라떼아트 대회는 매해 미국의 여러 도시를 걸쳐 3~4회 정도 개최됩니다. 도쿄도 최근에 이 영광스러운 대회가 개최되는 도시가 되었습니다. 라떼아트 경연대회는 바리스타 자신의 가장 뛰어난 라떼아트 사진 2장을 함께 신청합니다. 이 사진들은 1~64위까지 선별되며 1:1 토너먼트 형식 등으로 게임을 진행합니다. 이런 토너먼트 형식의 규정은 바리스타 그레이드를 측정할 때 유용합니다. 제가 예전에 애틀랜타에서 열린 경연대회에 참가했던 경험을 이야기하자면 당시 한국, 미국, 일본 그리고 캐나다 등 각국에서 온 바리스타들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3분의 시간이 주어지면 그 시간 내 에스프레소 양 조절, 탬핑, 추출과 동시에 스팀-모양-생각-우유를 붓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해 라떼아트를 완성해야 했습니다. 라떼대회가 중요한 이유는 위 이야기의 포인트와 같습니다. 두 가지로 다시 정리하자면, '첫 번째 바리스타가 압박감을 느끼는 와중에 얼마나 연속성 있게 일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두 번째 바리스타들은 바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느 정도에 오르기 전까지 에스프레소 머신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최고의 바리스타는 이 두 가지 상황에서도 최고의 라떼아트 음료를 만드는 사람입니다. 다시 예전의 제 경험에 빗대어 보면 경연대회에 출전했을 때 에스프레소 추출 시에 정확한 추출을 위해 그라인더 세팅에 사용한 시간이 너무 많았습니다. 그리고 그 압박감 속에서 연속성 있게 라떼아트를 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저는 결승전까지 진출하지 못했지만, 결승 진출을 한 다른 바리스타들이 말한 바에 의하면 점점 자신이 우승하게 될 시점이 다가온다고 합니다. 저는 다음 대회에 출전할 예정입니다. 또 최고의 커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스티븐 림의 영문 콘텐츠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dcoffeetea.com/why-are-latte-art-competitions-so-important-2/

15.07.01

커피엑스포에서 만난 기대제품 4가지

15.06.28

호텔렉스에서 좋은 반응 이끌어낸 한국 커피업체

호텔렉스 전시에 참여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한국 커피업체들을 만났습니다. 카파의 카페 부재료 브랜드 ‘포모나(pomona)’ 부스는 비즈니스 상담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한국 브랜드 중 고품질 재료로 인식되어 있어 문의가 많은 것 같다고 합니다. 특히 제품을 원활히 공급받기 위한 프랜차이즈 본사나 가맹점 고객들의 수요가 많다고 합니다. 본격적으로 중국 시장에 뛰어든 CJ 시럽브랜드 ‘메티에(metier)’입니다. 품질로 인정 받는 한국 제품답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특히 이번 전시에서 크림아트 아티스트 이강빈씨와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를 진행해 관람객들의 발길을 붙잡았습니다. 예술에 가까운 라떼아트 ‘크리마트’ 전문가 이강빈 바리스타의 인기는 그야말로 핫!했습니다. 시연 시간 동안 관람객들이 계속해서 몰려들었고, 행사 종료 이후 사인을 받고 인사를 나누고자 하는 사람들로 한동안 자리를 뜨지 못했습니다. 한국 로스터 ‘프로스타(proaster)’를 홍보하고 있는 태환자동화산업은 중국이 인스턴트 시장에서 원두시장으로 가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전했습니다. 태환 측에 따르면 상하이의 경우 전체 카페 중 2% 정도만이 로스터리 카페라 앞으로 로스터 기기와, 로스팅 교육, 로스터 직업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과학적 설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한국 로스터 ‘스트롱홀드(strong hold)’와 미국 스몰 로스터 시장을 꽉 잡고 있고 자랑스러운 메이드인 코리아 ‘제네카페(gene cafe)’ 등도 전시장에서 소개되었습니다.

15.06.28

내년 세계무대 대표 차이나바리스타챔피언십

이번 상하이 호텔렉스 전시에서 총 4개의 커피 경연 대회가 열렸습니다. 대규모 전시장에서 열린 대회답게 수많은 사람들이 대회를 지켜보았습니다. 특히 차이나 바리스타 챔피언십과 라떼아트 챔피언십에 관람객과 취재진이 정말 많이 몰려 들었습니다. 자리확보를 위한 작은 다툼도 일어날 정도이니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열기가 뜨거웠던 차이나 바리스타 챔피언십입니다. 6명이 경합을 펼치는 결승전 중인데요, 그 중 한 바리스타의 시그니처 메뉴 시연 장면입니다. 도기 찻잔과 주전자, 푸른 들판을 연상시키는 장식품 등의 테이블 세팅이 신선했고요. 중국 고유의 차 문화를 접목한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결승전이 끝나고 챔피언을 발표하는 순간. 6위부터 3위까지 발표가 끝나고 최종 2인이 남았네요. 왼쪽은 후잉(胡颖) 바리스타, 오른쪽은 장이훙(张宜綋) 바리스타입니다. 과연 누가 중국대표 바리스타 타이틀을 거머쥐었을까요? 바로 후잉 바리스타입니다. 장이훙 바리스타는 2위를 했습니다. WCE 이사인 마이클 영(Michael Yung)과 수상의 기쁨을 나누고 있습니다. 그간의 고생을 보상받는 자리이기도 하고, 몸과 마음의 부담을 잠시나마 털어낼 수 있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여기는 라떼아트 챔피언십 대회장입니다. 역시 많은 인파가 몰렸습니다. 중국에서는 다른 어떤 커피 대회보다 라떼아트 대회에 대한 관심이 유독 높다고 합니다. 2015 차이나 라떼아트 챔피언십에서는 한국인이 심사를 총괄했는데요. WBC 심사위원이기도 한 송인영씨가 국제심사위원으로서 현장심사 및 심사관리를 했습니다. 라떼아트 챔피언을 위한 트로피입니다. 금은동 이렇게 등수마다 트로피 색깔이 다른데요,조형과 디자인도 독창적입니다. 올해 차이나 라떼아트 챔피언십의 최종 우승자는 왕수이초(王学超) 바리스타입니다. 파이널 명단에 마지막 등수로 올라갔기 때문인지 1위 예상을 못 했던 것 같습니다. 발표 이후에도 한 동안 어리둥절한 모습을 보였거든요. 왼쪽부터 CLAC 2위 리춘화(李春华), 1위 왕수이초, 3위 장쩐(张镇)입니다. 커피TV가 현장에서 취재한 왕수이초와 송인영 인터뷰 영상을 통해 우승소감과 심사후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는 차이나 컵 테이스터스 챔피언십입니다. 선수들이 열심히 커핑을 하면서 다른 컵들을 골라내고 있습니다. 이곳은 차이나 브루어스 컵 챔피언십 대회장입니다. 하리오V60 드리퍼로 브루잉을 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두 경연의 결과는 컵 테이스터스 챔피언은 장쩌빈(张哲斌) 선수, 브루어스 컵 챔피언은 왕치링(王启棱) 선수가 차지했습니다.

15.06.28

2015 월드라떼아트 챔피언 차성원!

  이번 월드라떼아트챔피언십 대회장은 엄청난 환호성과 박수로 가득찬 곳이었습니다. 각국 대표들의 경쟁도 치열했지만 이들을 응원하는 관람객들의 열기는 더 뜨거웠거든요. 특히 파이널6에 한국인 차성원, 정경우 선수 2명이나 진출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는데요. 대회 결과 챔피언은 한국 국적이지만 호주 카페에 근무하면서 호주대표로 출전한 차성원(캐일럽 차) 선수가 차지했습니다!

15.06.27